자주묻는질문

자주묻는질문 5
프로필 이미지
관리자
2023-08-30

1. 워크샵을 참가할 수 있는 학력이나 자격증의 기준

https://maumsarang.kr/maum/order/guide.asp


해당 링크를 클릭해 보시면 구매자격을 획득할 수 있는 경로는 총 3가지 입니다.


1. 이미 구매할 수 있는 자격증을 소지한 경우(전문가급)

2. 관련 자격증을 소지한 경우(준 전문가급)

3. 석사 졸업 이상 학력을 소지한 경우 


정확한 확인은 해당 부분을 클릭하시면 확인 가능 하며, 

이 중에서 2번과 3번의 경우, 자격증 또는 학위 만으로는 구매 자격을 얻을 수 없습니다. 

추가적으로 이상심리와 MMPI 워크숍을 수강하셔야 합니다.


아래 그림에 따라 세 가지 영역을 체크하시면 되며, 이에 따라 구매자격 요건이 결정됩니다.

 



2. MMPI 구매자격 안내

1. 자격(증)으로 구매가 가능한 경우

 1) 심리평가와 정신병리 교육, 종합적인 심리평가 실습을 포함하는 자격증 소지자

    (예: 상담심리사 1급, 발달심리사 1급, 임상심리전문가 등)

 2) 한국임상심리학회에 등록된 임상심리전문가 수련생 2년차이상



2. MMPI 워크숍 + 정신병리(이상심리) 교육을 추가로 이수해야 구매가 가능한 경우

 1) 위의 1)번의 자격증에 해당되지 않은 정신건강관련 분야의 공신력 있는 자격증 소지자

 2) 정신건강 관련학과 석사 학위 소지자

-> MMPI 워크샵과 정신병리(이상심리) 교육 모두 이수해야 하며, 구매 자격 확인서 증빙서류(수료증)을 제출해야 합니다.



3. MMPI 워크숍 및 정신병리(이상심리) 교육 인정기준



4. 자세한 내용은 

마음사랑 사이트 : https://maumsarang.kr/maum/order/guide.asp  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프로필 이미지
관리자
2023-08-30

최근 들어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을 설계로 적용하는 논문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조절된 매개효과에 대한 정확한 개념을 아는 분들이 그리 많지는 않은 것을 느낀다. 


심지어 교수님들조차 아래 그림 1번은 <매개된 조절>로 2번은 <조절된 매개>로 알고 계시는 경우를 많이 본다. 


그림 1은 조절이 먼저 일어나고 매개가 나중이니 매개된 조절이고 

그림 2는 매개가 먼저 일어나고 조절이 나중이니 조절된 매개라고 보시는 것 같다. 


그림 1


그림 2



그러나 조절된 매개와 매개된 조절은 그렇게 구분하지 않는다.  


위의 그림은 모두 조절된 매개이다. 


그럼 매개된 조절은 어떤 모형인가?


아래 그림 3과 그림 4와 같은 형태이다. 


즉 독립-종속 간 조절효과의 유의성 여부가 기준이 된다.


그림 3


그림 4



그렇다면 다양한 패턴들이 나올텐데 어떤 걸 기준으로 삼아야 하는가? 


우선 독립-종속 간 조절효과가 유의한지를 최우선적으로 살핀다. 


만일 유의하다면 매개된 조절의 모형을 고려해야 한다. 


만일  독립-종속 간 조절효과가 유의하지 않다면 조절된 매개 모형을 고려한다. 


물론 매개효과가 유의해야한다. 


그럼  독립-매개 간 혹은 매개-종속 간 조절효과는 반드시 유의해야 하는가? 


조절효과가 반드시 유의하지 않아도 조절된 매개지수가 유의한 지 여부가 더욱 중요하다. 


이러한 견해는 모두 hayes 의 견해를 따른 것임을 밝혀둔다.



프로필 이미지
관리자
2023-08-30

1. (사)한국상담심리학회 상담심리전문가(상담심리사 1급) 

자격심사 청구를 위한 최소수련 : 학술 및 연구활동 관련 내용


학회 또는 유관학술지에 발표한 1편 이상의 연구 논문 제출


** 유관학술지 기준 **

1) 규정에 정해진 유관학술지의 기준은 없음.

2) 단, 논문을 게재했을 당시, 해당 학술지가 발행한지 만 3년 이상 되고 매년 정기 발행 중인 학술지 이어야함(등재여부는 관계없음)

3) 논문 내용에 대한 심사는 서류 심사 시에 별도의 심사위원에 의해 진행되므로 인정여부 확인 불가능.

4) 상담심리사 1급 자격심사를 위해 제출할 논문양식

 (1) 논문 출간 책자

 (2) 별쇄본 책자

 (3) 책자를 보관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표지+목차+본문의 복사본

  - 상기 (1) (2) (3) 중에서 하나를 제출하셔야 합니다.

  - 논문 제출은 자격심사 서류 접수 시에 제출해야 합니다.

  - 2인 이상의 공동 연구에서 제1저자로 100% 인정받고자 하는 경우, 제1저자임을 확인할 수 있는 증빙자료를 반드시 제출해야 합니다.



2. (사)한국상담학회 전문상담사 1급

2023년도 (사)한국상담학회 전문상담사 자격검정 시행공고[(사)한국상담학회 자격검정위원회 발행]

전문상담사 1급 요건 중 연구실적 관련내용


- 상담관련 논문 1편 (등재후보지 이상)

- 저·역서 1권 (*적합성 심의 별도. 연구보고서, 강의교재 묶음 등은 인정하지 않음)

- 본 학회 주최 연차학술대회 논문발표(구두 또는 포스터) 1회

- KCA-IC 국제학술대회 논문 포스터발표(2020년 발표부터 인정)



3. 한국임상심리학회 임상심리전문가

한국임상심리학회 임상심리전문가 수련과정 시행세칙 제 7조(수련과정 및 내용)


제 1저자로 기재된 연구논문을 1편 이상 발표해야 한다. 논문은 전국적으로 배포되고 공식적인 심사제도가 잘 확립되어 있는 국·내외 학술지에 발표된 것으로 사례보고(case report), 종설(review article), 간략보고(brief report)도 동등하게 인정한다. 연구논문은 수련등록기간 중에 A급 학술지에 게재될 경우에 인정하며, A급 학술지는 한국연구재단 등재지 혹은 등재후보지 그리고 그에 준하는 국외 학술지로 규정한다.


(가나다 순으로 올림)

프로필 이미지
관리자
2023-08-30


논문컨설팅의 전과정은

설계 -> 분석 -> 라이팅 -> 리비전의 총 4단계로 구성됩니다. 

이는 아래 그림과 같이 41개의 세부단계로 나뉘며 이 모든 과정을 거쳐 하나의 논문이 완성됩니다.